정기구독신청 광고문의
  • 주택저널 E-BOOK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수익형 주택 하우징
·Home > 한국의집 > 한국의 집
[경북 영양군 입암면 서석지]
은둔하는 선비의 지조와 정신세계를 담은 이상향

서석지는 전남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세연정과 더불어 조선시대 민가의 3대 정원으로 꼽히는 대표적인 정원건축이다. 특히 벼슬을 마다하고 지방에 은거하면서 깨끗한 선비의 길을 걸어온 집주인의 정서가 집안 곳곳에 배어 있다. 연못은 물론 정자와 서재, 연못에 놓은 돌 하나까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학문적 의미를 담고 있다. 

취재 권혁거 사진 왕규태 기자

주택저널 기사 레이아웃

 

 

 

 

▲서울에서 경북 영양을 가자면 중앙고속도로를 통해 안동이나 영주에 이른 후에도 다시 몇 구비를 더 들어가야 한다.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이 지역을 일컬어 ‘깊은 두메로 병란(兵亂)과 세상을 피해 살만한 곳’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인적이 드문 ‘오지(奧地)’라는 얘기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 서 있는 ‘선바위’. 

남이장군의 모습이라고도 전하는 이 바위로 인해 이지역의 이름이 ‘입암면(立岩面)’이 됐다. 

건너편 쪽으로 선바위 관광지가 조성돼 있다.

 

그런 탓인지 이곳은 선비들의 은둔지로도 잘 알려져 왔다. 영양의 대표적 마을인 주실마을이나 두들마을, 연당마을이 모두 그러하다. 지조의 시인 조지훈의 고향으로 잘 알려진 주실마을은 입향조인 한양 조씨 호은(壺隱) 조전(趙佺)이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가 축출된 기묘사화를 피해 터를 잡은 곳이다. 두들마을은 재령 이씨인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이 병자호란을 피해 자리잡은 마을이다.

 


▲서석지 전경. 연못과 서재, 정자로 이루어진 곳으로, 석문 정영방이 중앙정치의 어지러움을 피해 내려와 은둔하면서 지은 별서이다.

 

어지러운 중앙정치 피해 은둔한 선비의 별서

연당(蓮塘)마을 역시 조선시대 중기때의 학자인 석문(石門) 정영방(鄭榮邦)이 어지러운 조정을 피해 벼슬을 마다하고 막내아들과 함께 내려와 은거하면서 조성된 마을이다. 연당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이곳에 서석지(瑞石池)라는 연못때문이다. 연못외에 서재와 정자도 건축돼 있고, 뒤쪽으로 수직사도 별도로 마련했다. 일종의 별서인 셈이다.

 

서석지가 있는 입암면(立岩面)은 말 그대로 ‘바위가 서 있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연당리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양쪽에서 흐르는 내가 합쳐지고, 이곳에 ‘선 바위’라고 부르는 큰 바위가 하나 서 있다.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바로 입암이다. 이곳에는 또 바위로 이루어진 두 개의 암벽이 마주보고 서 있다.

 

 

▲담장 밖에서 본 정자와 서재의 모습

 

이곳에 은거한 정영방이 자신의 호를 ‘석문’이라 지은 것도 두 개의 암벽이 마치 마을의 문처럼 마주보고 서 있다고 해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마을 이름을 연당이라고 한 것은 서석지라는 연못과 함께 이곳에 심은 연꽃이 있기에 붙은 이름이다. 아마도 석문이 이곳에 터를 잡은 것도 이같은 자연지형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자인 경정의 뒷면

 

서석지를 조성한 석문은 본관이 동래(東萊)로, 경북 예천지방이 고향이다. 당대의 대학자였던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 그는 광해군때 성균관 진사를 지냈지만, 중앙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지방으로 내려왔다.

 

이 마을에 살면서 서석지를 관리하고 있는 석문의 12대손인 정수용(鄭壽鎔, 80세)씨의 설명에 따르면, 지금도 대부분의 마을사람들은 동래 정씨로 이루어진 씨족마을 형태를 띄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웃 주실마을이나 두들마을과도 혼맥 등으로 얽혀 친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마을앞을 흐르는 청기천에 거북모양을 한 ‘거북바위’가 있다. 서석지는 연못뿐 아니라 주변의 경관을 함께 묶어 외원과 내원의 형태로 이루어진 정원이다.

 

 

연못에 놓인 각양각색의 돌들

서석지는 자양산 기슭에 입지한 마을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오른쪽으로 연못이 있고, 그 앞으로 서재인 ‘주일재(主一齋)’가 앉아 있다. 연못의 왼쪽으로는 서재보다 규모가 훨씬 큰 정자인 ‘경정(敬亭)’이 있다. 정자의 뒤쪽으로 수직사인 ‘자양재(紫陽齋)’가 있고, 그 옆으로 서책들을 보관하는 장판각 등이 있다.

 

서석지는 조경과 건축의 아름다움으로 조선시대 대표적인 민가정원의 하나로 꼽히지만, 주 건축을 이루는 연못과 정자, 서재 모두 성리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이 서석지를 다른 정원과는 다른 특별한 정원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서석지와 정자. 유교적 원리를 담아 조성한 것으로, 연못에 놓인 돌들은 대부분 이름이 있다.

 

먼저 연못을 보자. 연못에는 연꽃을 심었는데, 아쉽게도 아직은 계절이 맞지 않아 제대로 핀 모습을 볼 수 없다. 연꽃과 함께 각양각색의 크고 작은 돌들이 놓여 있다. 각 돌마다 모두 이름을 갖고 있는데, 자연의 오묘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석문의 인생관이 투영돼 있다. 이 돌들을 일컬어 ‘서석군(瑞石群)’이라 하며, 서석지라는 이름의 연원이기도 하다.

 

 

▲서석지 옆에 지은 석문유물관

 

돌의 이름과 그 뜻을 살펴보면, ‘봉운석(封雲石)’은 ‘학의 머리를 두른 구름돌’을 뜻하고, ‘별에서 떨어진’ 낙성석(落星石), ‘못속에 웅크린 용’ 와룡암(臥龍巖)이 있는가 하면, 상경석(尙絅石)은 ‘높이 존경받는 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통진교(通眞橋)는 ‘선계로 건너는 돌’이고, 희접암(戱蝶巖)은 ‘나비가 노는 돌’, 탁영반(濯纓盤)은 갓끈을 씻는 바위라는 뜻이다.

 

희접암은 장자가 꾼 나비꿈을 연상케 한다. 장자가 나비꿈을 꾸면서 나비와 일체가 되는 황홀경에 빠졌다는 얘기다. 탁영반은 전국시대 시가인 초사의 어부편에 나오는 것으로 세상을 멀리하는 숨어사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이들 모두 선비의 삶에 대한 가치와 이상을 담은 내용들이다.

 

연못의 앞과 뒤에는 물이 흘러들어오는 곳과 흘러 나가는 곳에도 철학적 의미를 담았다. 물이 들어오는 곳을 읍청거(?淸渠)라 해서 ‘푸른 물이 들어오는 도랑’, 곧 깨끗한 물이 들어오는 곳을 이른다. 물이 흘러나가는 곳은 토예거(吐穢渠)라 해서 ‘더러운 물이 씻겨 나가는 도랑’의 의미를 담고 있다.

 

 

▲서재인 주일재의 내부. 밖으로 행단이 보인다.

 

 

성리학적 원리로 만든 사우단과 행단, 서재와 정자

연못 앞 주일재쪽으로는 돌출된 석단이나 담장 한쪽에 조성된 행단도 마찬가지다. 석단은 이른바 사우단(四友壇)으로, 소나무(松)와 매화(梅), 국화(菊), 대나무(竹)로 조성한 작은 공간이다. 흔히들 ‘매란국죽’을 사군자로 얘기하는데, 여기에서는 난초대신 소나무를 넣어 사우라고 칭하고 있다. 사우단이 의미하는 바는 바로 선비의 지조이다.

 

 

▲주일재와 사우단. 연못앞에 조성한 사우단은 난초 대신 소나무를 심어 ‘매송국죽’으로 조성, 선비의 지조를 나타내고 있다.

 

행단(杏壇)은 ‘학문을 배워 익히는 곳’을 일컫는 말이다. 공자가 은행나무의 단 위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서석지에서도 연못 한쪽에 커다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석문이 서석지를 조성할 때 심은 것이라고 하니 수령이 400년이 족히 된 것이다.

 

주일재는 학문에 매진하면서 한 임금을 섬긴다는 선비의 뜻을 담고 있는 이름이다. 주일이란 ‘주일무적(主一無適)’에서 따온 말로 ‘항상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고 있어 다른 것에 흔들림이 없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즉 그는 오직 학문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품고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나타내려고 한 것이다. 주일재의 한쪽 마루위에는 서하헌(棲霞軒)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정자에 ‘경정’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이는 ‘거경궁리’에서 따온 것으로 성리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정자의 이름인 경정 또한 성리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곧 경(敬)은 ‘거경궁리(居敬窮理)’에서 따온 것이다. 거경궁리란 성리학에 있어 학문수양의 방법을 일컫는 말로, ‘경의 태도를 견지하면서 이치를 탐구해야 한다’는 뜻이다. 경정의 대청에는 스승인 우복을 비롯해 석계, 창석(蒼石) 이준(李埈) 등 당대의 학자들이 쓴 글들도 걸려 있다.

 

경정은 특히 건축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나다. 넓은 대청과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정자는 연못을 바라보고 앉은 품새부터가 남다르다. 그윽한 연못의 정취와 사우단, 행단, 그리고 연못속에 자리잡은 돌들이 모두 한눈에 들어온다. 방과 방사이의 창호를 들어열개로 모두 열어 젖히면 사방이 트인 한 공간이 된다. 건물의 기둥과 보위에 만든 공포나 난간의 문양 등 장식적인 아름다움도 갖추고 있다.

 

 

▲정자의 뒤쪽에는 살림집인 ‘자양재’를 비롯해 장판각과 외양간 등 부속건물들이 있다.

 

이곳 정자에 앉아 있으면 앞의 연못과 주변의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 마을 건너편에는 나월산이 있다. 그러나 이 정자는 단순한 자연경관을 감상하기 위한 장소만은 아니었다. 그가 벗들과 함께 시문을 읊고 학문을 논하는 자리이기도 했고, 선비로서 자신이 마땅히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되새기는 자리이기도 했다.

 

 

▲경정은 건축수법이 뛰어나고 문양도 아름답다.

 

 

안의 연못과 바깥의 경치가 어우러진 민가정원의 걸작

서석지는 비단 집안의 연못이나 정자뿐 아니라 집밖의 자연경관이 함께 어우러져 전체의 조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서석지가 내원(內苑)이라면 주변의 자연경관은 외원(外苑)에 해당한다. 아마도 석문이 이곳을 자신의 은거지로 택한 것 또한 이러한 요소들을 감안한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마을 입구에서 두 줄기의 물이 합쳐지는 것이나 석문을 이루는 바위벽 등이 모두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서석지가 있는 마을 뒤쪽으로는 자양산이 배경이 되고 마을 건너편에는 나월산이 마주하고 있다. 마을앞을 흐르는 내에는 거북바위가 있다. 이외에도 각종 바위벽과 바위, 주변의 산들이 어우러져 전체의 정원경관을 연출한다.

 

 

▲정자에 앉아 있으면 연못과 서재와 주변 경관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각 창호를 들어열개로 열어놓으면 공간이 모두 트여 시원하고 넓은 공간이 된다.

 

석문은 벼슬을 마다하고 조용한 시골에 은둔하면서도 선비로서의 자세와 지조를 잃지 않고 살았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자신이 조성한 정원에 유교의 정신과 자신의 인생관을 반영한 것은 그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어지러운 속세를 떠나 이상향을 추구한 조선 선비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