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신청 광고문의
  • 주택저널 E-BOOK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 광고 배너1
수익형 주택 하우징
·Home > 부동산 > 부동산가이드
[2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
전월대비 8.8p 상승한 61.4

2개월 연속 하락하던 주택사업환경지수가 봄철이 다가오면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준선(100)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2월 분양계획 전망지수도 소폭 상승해 분양시장 활황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정리 구선영 기자 자료제공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저널 기사 레이아웃

 

 

2016년2월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은 전월대비 8.8p 상승한 61.4를 기록하면서 2015년 12월(65.7)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하고 있다.

 

2015년 11월까지 기준선(100)을 상회하던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이 12월 65.7, 2016년 1월 52.6을 기록하면서 급격히 하락해 주택공급시장에 대한 위축 우려가 있었다. 그나마 2월 주택사업환경지수가 61.4를 기록하면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이다.

 

특히, 주택사업환경 1월 실적은 59.4로 1월 전망 52.6보다 오히려 6.8p 높게 나타났다. 즉 1월은 공급전망보다 공급실적이 더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대출규제의 본격적 시행으로 더 커지는 주택공급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주택사업자의 선택결과로 당분간 공급물량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월대비 주택사업환경 개선 기대감은 회복

2016년 2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은 수도권이 64.5, 지방이 70.2로 전월대비 각각 15.2p, 14.2p 상승했다. 그러나 충북과 경북의 주택산업환경지수 2월 전망이 50선을 기록하고 있어 주택사업환경은 여전히 양호하지 않다.

 

주택사업환경에 대한 사업자의 체감경기 전망 수준은 수도권이 64.5, 지방이 70.2로 아직까지 지방이 수도권 보다 약간 높지만, 체감경기 개선폭은 수도권(15.2p)이 지방(14.2p)보다 1.0p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보다는 수도권에 대한 공급시장 체감경기 개선 기대감이 더 큰 것으로 예상된다.

 

2월 주택사업환경 전망지수가 제일 높은 지역은 제주(100)이며, 제일 낮은 지역은 충북(57.7)이다. 전월대비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된 지역은 22.5p 상승한 대구이며, 전월대비 개선 폭이 가장 적은 지역은 6.3p 상승한 서울로 나타났다.

 

경북을 제외한 주택사업환경 전망지수가 전월대비 모두 상승했으며, 대구에 이어 20p 이상 증가한 지역이 전북(20.1p)과 제주(20.0p)다. 부산(19.9p), 충남(19.6p), 전남(18.5p), 경기(18.2p), 광주(16.9p), 울산(14.8p), 강원(12.8p), 인천(12.3p)도 상승했다. 경북은 오히려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이 1월 60.0에서 2월 58.8로 1.2p가 감소했다.

 

 

 

 

 

2월 미분양 전망지수 감소

2월 분양계획 전망지수는 전월대비 12.6p 증가한 94.9로 2015년 11월(120.2)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하고 있다. 반면에 미분양 전망지수는 전월대비 10.6p 감소한 98.0으로 기준선(100)을 하회하면서 미분양 증가 위험이 둔화됐다. 2월 분양계획 전망지수가 봄철 분양시장에 진입하면서 전달(82.3) 대비 12.3p가 증가한 94.9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기준선(100)을 하회하고 있어 지난해에 있었던 분양시장 활황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